전체 글 (35)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장국 해장국 술로 시달린 속을 풀기 위하여 먹는 국물음식. 술국이라고도 한다. 고려 말기의 중국어 회화교본인 ≪노걸대 老乞大≫에 술 깨는 국이라는 뜻의 성주탕(醒酒湯)이 나온다. 이것이 해장국의 원형이라 할 수 있다. 이에 의하면 “육즙에 정육을 잘게 썰어 국수와 함께 넣고 천초(川椒)가루와 파를 넣는다.”고 되어 있어 얼큰한 오늘날의 해장국과 그 기본이 같다. 조선시대 조리서에는 해장국이 나오지 않지만 조선 말기의 풍속화나 문헌에는 이에 관한 내용이 나타나고 있다. 신윤복(申潤福)의 <주막도>에는 술국을 먹으러 온 한량들의 모습과 해장국이 끓고 있는 솥 앞에 앉아 국자로 국을 뜨고 있는 주모의 모습이 잘 그려져 있다. ≪해동죽지 海東竹枝≫에는 효종갱(曉鍾羹)이라 하였다. “광주(廣州) 성내에서는 이 국을 잘.. 김밥 이야기 김밥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이다. 김에 밥과 여러 가지 재료를 넣고 말아 싼 음식이다. 밥은 소금만으로 간을 한 밥을 쓰기도 하고, 식초·소금·설탕을 섞어만든 배합초를 밥에 뿌려 초밥을 만들어 쓰기도 한다. 김밥의 재료는 단무지·달걀·어묵·쇠고기·당근·시금치 등을 넣는데 손쉽게 구할 수 있는 것을넣는다. 소풍이나 나들이를 갈 때 도시락으로 이용하거나 간식 등으로 먹는다. 최근에는 김치·참치·치즈 등의 재료를 넣어 다양하게 맛을 내고 있다. 모양에따라서는 밥을 삼각형으로 만들어 김으로 싼 삼각김밥, 어린이의 한입에 들어갈정도로 크기를 작게 만든 꼬마김밥, 재료를 김으로 싸고 밥이 겉으로 나오게 만든누드김밥 등 여러 종류가 있다. 또 맨밥에 김을 싸고 반찬은 별도로 내는충무김밥이 있.. 샌드위치 샌드위치 요약영국 남동부 켄트지방의 샌드위치 백작 4세인 존 몬테규(1718~92)의 이름에서 그 명칭이 유래했다. 샌드위치 백작 4세인 존 몬테규(John Montague)는 두 조각의 빵 사이에 속을 채운 인기 있는 간식에 자신의 작위(爵位)를 확실하게 남기는 엄청난 업적을 이룩했다. 도박에 심취했던 샌드위치 백작 존 몬테규는 카드게임을 멈추지 않고 허기와 식욕을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음식을 만들기 위해 오랫동안 고민했다. 그는 1762년 중동과 근동지역 여행 중에 이 문제를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 음식을 찾았고 실제로 만들어 먹기 시작했다. 이것이 우리에게 흔히 알려져 있는 샌드위치의 기원이다. 그러나 사실 샌드위치의 기원은 이보다 훨씬 이전인 기원전 1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. 유대교의 현자 힐.. 이전 1 2 3 4 5 6 7 ··· 12 다음